HTML TAG
글자 관련 태그
태그명 |
설명 |
<h(1~6)> |
제목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 |
<br> |
줄바꿈(개행)할 때 사용한다 |
<hr> |
가로로 길게 수평선을 그어준다 |
<p> |
문단영역을 나누는 태그로 줄바꿈 입력은 별도의 태그로 지정해야한다 |
<pre> |
줄바꿈 등을 포함하여 입력한 내용 그모습 그대로를 표시해주며 여러 개의 공백도 인식한다 |
<b> , <strong> |
글자를 굵게 표시한다 |
<mark> |
배경부분을 형광펜 표시가 된 것 처럼 노란색으로 표시한다 |
<i> , <em> |
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한다 |
<u> |
글자에 밑줄을 긋는다 |
<s> |
글자에 취소선을 긋는다 |
<small> |
글자를 작게 표시한다 |
<blockquote> |
다른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 사용하며 자동 들여쓰기가 되고 개행을 내포한다 |
<q> |
다른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 사용하며 ““표시가 되고 개행을 내포하지 않는다 |
<sup> |
태그로 감싼 내용만 윗첨자로 나타낸다 |
<sub> |
태그로 감싼 내용만 아래첨자로 나타낸다 |
<abbr> |
두문자어와 약어에 사용하며 title속성 지정시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해당 값이 보여진다 |
<cite> |
웹 문서나 포스트에서 참고할 때 사용하며 이텔릭으로 표시된다 |
<code> |
컴퓨터 인식을 위한 소스코드를 담는 태그로 <pre> 태그 내부에 작성한다 |
<kbd> |
키보드입력이나 음성명령 같은 사용자 입력 내용을 나타낸다 |
제목과 문단을 나누는 태그 예시
-
<h(1~6)>
<h1>h1 태그입니다</h1>
<h2>h2 태그입니다</h2>
<h3>h3 태그입니다</h3>
<h4>h4 태그입니다</h4>
<h5>h5 태그입니다</h5>
<h6>h6 태그입니다</h6>
h1 태그입니다
h2 태그입니다
h3 태그입니다
h4 태그입니다
h5 태그입니다
h6 태그입니다
- 제목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
- 각 태그별로 지정된 폰트크기가 있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더 큰 폰트를 가진다
-
<pre>
, <p>
, <br>
<p>
문단 영역을 나누는 태그로는 p태그와 pre태그 + h태그들이 있다<br />
단, p태그는 줄바꿈 입력을 별도의 태그로 지정해야함<br />
그리고 공백은 한개의 공백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기호문구를 작성해야한다
<br />
공백 기호 문구 시작 끝
</p>
<pre>
pre 태그는 여러 공백( )이 인식 가능하고
줄바꿈 등을 포함하여 입력한 내용 그대로를 표시해주는 태그
앞의 탭도 포함해서 띄어서 표시된다
</pre>
문단 영역을 나누는 태그로는 p태그와 pre태그 + h태그들이 있다
단, p태그는 줄바꿈 입력을 별도의 태그로 지정해야함
그리고 공백은 한개의 공백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기호문구를 작성해야한다
공백 기호 문구 시작 끝
pre 태그는 여러 공백( )이 인식 가능하고
줄바꿈 등을 포함하여 입력한 내용 그대로를 표시해주는 태그
앞의 탭도 포함해서 띄어서 표시된다
글자 태그 예시
<b>b : 글자를 굵게 표시해주는 태그</b>
<strong>strong : 글자를 굵게 표시하는 태그</strong>
<em>em :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태그</em>
<i>i :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태그</i>
<mark>mark : 형광펜</mark> 효과를 주는 태그
<u>u : 글자 아래 밑줄을 표시하는 태그</u>
<s>s : 글자에 취소선을 넣어주는 태그</s>
<small>small : 글자를 작게 표현해주는 태그(잘 사용안됨)</small>
<abbr title="보여줄 속성값">abbreviation</abbr> 단어의 축약형이나 머리글자로만
된 단어를 정의할 때 쓴다(잘 사용안됨) sub : 기본 글자에 <sub>아래첨자</sub>를
나타내는 태그 sup : <sup>윗첨자</sup>를 나타내는 태그이다
b : 글자를 굵게 표시해주는 태그
strong : 글자를 굵게 표시하는 태그
em :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태그
i :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태그
mark : 형광펜 효과를 주는 태그
u : 글자 아래 밑줄을 표시하는 태그
s : 글자에 취소선을 넣어주는 태그
small : 글자를 작게 표현해주는 태그(잘 사용안됨)
abbreviation 단어의 축약형이나 머리글자로만 된 단어를 정의할 때 쓴다(잘 사용안됨)
sub : 기본 글자에 아래첨자를 나타내는 태그
sup : 윗첨자를 나타내는 태그이다
목록 관련 태그
태그명 |
설명 |
<ul> |
순서 없는 목록생성 |
<ol> |
순서있는 목록생성 type으로 “1”(기본값, 숫자), “A”(대문자알파벳), “a”(소문자알파벳), “I”(대문자로마자), “I”(소문자로마자) 설정 가능 |
<li> |
list의 약자로 목록을 나타낸다 |
<dl> |
용어나 문장에 대한 정의/설명 리스트로 자동 들여쓰기가 된다 |
목록 태그 예시
<li>목록1</li>
<li>목록2</li>
<ul>
<li>글자관련</li>
<li>목록관련</li>
</ul>
<ol type="A" start="5">
<li>JAVA</li>
<li>Oracle</li>
<li>JDBC</li>
</ol>
<dl>
<dt>이곳은 제목을 작성하는 곳입니다.</dt>
<dd>여기에는 설명을 작성하면 됩니다</dd>
<dd>여러줄 작성해도 됩니다.</dd>
<dt>또 다른 제목 작성하는 곳입니다</dt>
<dd>여기도 위와 같습니다</dd>
</dl>
목록1
목록2
- JAVA
- Oracle
- JDBC
- 이곳은 제목을 작성하는 곳입니다.
- 여기에는 설명을 작성하면 됩니다
- 여러줄 작성해도 됩니다.
- 또 다른 제목 작성하는 곳입니다
- 여기도 위와 같습니다
-
<ol>
- 아무 속성도 주지 않았을경우 기본적으로 1부터 시작하는 숫자로 표시된다
- type=”” 속성을 이용하여 불릿기호를 변경 가능하다
- start=”” 속성을 이용하여 시작값을 변경할 수 있다, type에 상관없이 숫자로만 값을 넣는다
- reversed 속성을 명시하면 내용위치는 그대로이되 숫자 순서가 역순으로 표시된다
-
<dl>
<dt>
: 제목을 작성
<dd>
: 내용을 작성
- 제목에 비해 내용부분이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어서 보여지게 된다
표 관련 태그
태그명 |
설명 |
<table> |
표를 생성해주는 태그,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다 |
<tr> |
표의 한 행을 나타냄 |
<th> |
표의 제목 셀을 나타냄, 중앙정렬 및 굵게 표시된다 |
<td> |
표의 일반 셀을 나타냄, rowspan(행)/colspan(열) 속성으로 행/열을 병합할 수 있다 |
<caption> |
테이블의 제목을 추가함, 기본위치는 테이블 상단 중앙 |
추가 관련 태그
태그명 |
설명 |
<thead> |
테이블에 하나만 존재가능 |
<tbody> |
몸체로 테이블에 여러 개 존재 가능 |
<tfoot> |
<thead> 태그 뒤에 있어야 하며 하나만 존재 가능 |
<col> |
열에 대한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 |
<colgroup> |
열을 그룹으로 묶어서 스타일 적용할 때 사용 |
목록 태그 예시
<table>
<tr>
<td colspan="3">열 병합</td>
</tr>
<tr>
<td rowspan="3">행 병합</td>
<td>내용2</td>
<td>내용3</td>
</tr>
<tr>
<td>내용4</td>
<td>내용5</td>
</tr>
<tr>
<td>내용6</td>
<td>내용7</td>
</tr>
</table>
열 병합 |
행 병합 |
내용2 |
내용3 |
내용4 |
내용5 |
내용6 |
내용7 |
댓글남기기